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8

“나는 왜 이 마을에 왔는가?” - 경남 합천군 경상남도 합천군은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심각한 인구소멸 위기에 직면한 지역 중 하나로, 고령화와 청년층의 유출로 인한 인구 감소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오늘은 국내 소멸 위기 지역 중 경남 합천군에 대해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합천군의 인구소멸 현황 * 고령화와 인구 감소 합천군의 인구는 2014년 약 5만 명에서 2025년 2월 말 기준 3만 9,938명으로 감소하여 4만 명 선이 무너졌습니다.이는 매년 1.5~2.5%의 감소율을 보이며 지속적으로 인구가 줄어들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45%를 넘어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하고 있으며, 합계출산율은 0.64명으로 경남 평균(0.8명)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합천군은 '인구 4만 명 지키기'를 목표로 2026년까지 전입인구 5.. 2025. 5. 11.
“나는 왜 이 마을에 왔는가?” - 전북 진안군 전라북도 진안군은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심각한 지방소멸 위기를 겪고 있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오늘은 국내 소멸위기 지역중 전북 진안군에 대해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진안군의 인구 감소 현황 진안군은 2013년 26,703명이었던 인구가 2022년에는 24,550명으로 감소했습니다. 이는 10년 동안 약 2,153명이 줄어든 수치로, 연평균 약 215명이 감소한 셈입니다. 특히 0세부터 14세까지의 유소년 인구는 같은 기간 동안 2,890명에서 1,718명으로 줄어들어 1,172명이 감소했습니다. 이는 출생률 감소와 청년층의 유출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 * 지방소멸 위험지수와 진안군의 위치 지방소멸 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 인구수를 65세 이상 고령 인구수로 나눈 값으로, 이 지수가 .. 2025. 5. 10.
“나는 왜 이 마을에 왔는가?” - 강원도 정선군 강원도 정선군은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심각한 지방소멸 위기 지역 중 하나로 분류되고 있습니다.오늘은 국내 소멸 위기 지역 중 강원도 정선군에 대해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정선군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지만, 다양한 전략을 통해 이를 극복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있습니다. 소멸 위기 현황 정선군의 인구는 지난 10년간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2012년 말 39,915명이었던 인구는 2022년 말 34,931명으로 줄어들며 약 12.5% 감소했습니다. 이는 매년 평균 500명 이상이 줄어든 셈으로, 인구 감소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습니다 . 특히 출생아 수는 2012년 266명에서 2022년 128명으로 절반 이하로 감소한 반면, 같은 기간 사망자 수는 361명에서 422명으로 .. 2025. 5. 9.
“나는 왜 이 마을에 왔는가?” - 전남 고흥군 대한민국의 지방소멸 위기가 점차 현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전라남도 고흥군은 그 대표적인 사례로 자주 언급되고 있습니다.오늘은 국내 소멸 위기 지역 중 전남 고흥군에 대해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고흥군은 천혜의 자연환경과 풍부한 농수산 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소멸 위기 현황 고흥군의 인구는 1970년대 15만 명 이상에 달했으나, 2024년 기준으로 6만 명 선까지 무너졌습니다.고흥군은 2023년 기준 총 인구 약 61,000명 중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약 40%에 달합니다. 이는 전국 평균 고령화율인 약 18%를 두 배 이상 웃도는 수치입니다. 이처럼 고령 인구 비율이 지나치게 높은 지역에서는 지역의 지속 가능성이 .. 2025. 5. 8.
“나는 왜 이 마을에 왔는가?” – 경북 의성군 안계면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은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심각한 인구소멸 위기에 직면한 지역 중 하나입니다. 오늘은 국내 소멸 위기 지역 중 경북 의성군 안계면에 대해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과거 농업 중심지로 번성했던 이 지역은 급격한 고령화와 청년층의 유출로 인해 인구 감소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위기 속에서도 안계면은 다양한 정책과 사업을 통해 지역 재생과 청년 유입을 시도하며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소멸 위기 현황 ● 인구소멸위험지수‘소멸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 인구 수 대비 65세 이상 인구 수를 기준으로 산출됩니다. 이 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 고위험지역'으로 분류되며, 의성군의 지수는 최근 몇 년간 0.2 이하로, 전국 최하위 수준입니다. ● 고령화율의성군 전체 .. 2025. 5. 7.
안녕하세요 동인 음악이라고는 하지만 규모나 활동 등에서 사실상 언더그라운드나 마이너의 인디 음악과 별반 차이가 없다. 다만 본인들이 얼마나 동인적 마인드로 활동을 하는지에 달린 문제인 듯하다. 개인적으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로 컴퓨터를 사용한 MIDI 악곡들이 주를 이룬다. 하지만 동인음악 시장이 성장하면서 현재는 라이브 밴드에서부터 오케스트라 같은 형태까지 규모나 퀄리티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동인음악을 크게 둘로 나누자면 오리지널 계열과 어레인지 계열로 나눌 수 있다. 오리지널계는 말 그대로 자신이 스스로 작사, 작곡, 편곡하여 창작한 음악으로 활동하는 것이다. 다만 어디까지나 곡 자체에 한정된 것으로, 만화나 게임 등 기존에 있는 어떤 작품에서 소재를 따와서 곡을 제작하는 경우는 있다. 어.. 2025. 3. 27.